티스토리 뷰

2000자를 쓰는 힘! : D

역행자(저자: 자청)

난나보다더 :) 2023. 1. 1. 20:00
반응형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도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나는 자청이라는 분을 유튜브 영상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인정하고 싶진 않았지만, 제목 하나만으로 영상에 끌렸던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진부한 제목일 수 있지만 열등감에 찌들어 있던 저자가 우울한 과거에서 벗어나 인생의 성공을 거둔 내용은 시선을 끌 만했던 것 같다. 영상을 보고 자청의 책이자 베스트셀러인 '역행자' 책을 구매해 읽어보았다. 요즘 유튜브에 위 책처럼 독서와 글쓰기를 강조하는 영상들이 참 많은 것 같다. 그중에서도 자청 책은 독서와 글쓰기를 특히나 강조하고 중요성을 일깨워준 것 같다. 사람들은 보통 단기간에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을 기대하고 좋아하는 심리를 가지고 있다. 나 역시 마찬가지로 독서나 글쓰기는 단기간에 성과가 나오는 부분이 아니어서 중요성에 대해 크게 생각해보지는 못했던 것 같다. 다만, 자청의 영상을 필두로 다른 성공한 사람들이 동일하게 독서와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는 것을 보며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던 것 같다. 현재 독서와 글쓰기를 꾸준히 습관을 들인 지는 3개월 정도 된 것 같다. 이에 대해서 내가 느낀 점을 몇 자 적어보려고 한다.

 먼저, 나는 독서를 꾸준히 보는 습관을 들임으로써 독서에 대한 집중력이 생긴 것 같다. 이전에는 책을 펴기만 해도 졸음이 몰려오거나 집중이 잘되지 않았다. 아마 저자의 주장처럼 뇌에서 책 읽는 것에 익숙함을 느끼지 못해서였던 것 같다. 다만, 처음과 달리 꾸준히 독서를 하다 보니 2~3주가 지나자 독서에 대한 집중력이 달라졌다. 두 번쨰로 글쓰기를 시작하고 나서 중요성에 대해 한 번 더 깨달았던 것 같다. 이전까지는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글을 읽기만 했지 내가 스스로 적어보고 정리해 본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현재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 내 글쓰기 실력이 많이 부끄럽게 느껴지는 것 같다. 또한 스스로 글쓰기를 하며 어휘력이 부족하고 글 쓰는 역량이 지금까지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글쓰기도 평상시에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며 왜 성공한 사람들이 독서와 글쓰기를 주장하는지 이유를 조금 찾은 것 같다.

 저자의 주장처럼 'input'이 많아야 'output'이 많이 생긴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바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책을 읽는 input의 과정이 부족하면 좋은 의사결정을 하기 힘들 거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하기에 저자의 주장처럼 다양한 책들을 읽고 글쓰기를 꾸준히 함으로써 좋은 의사결정을 하는 법을 많이 연습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AI(인공지능)'의 발달하면서 독서와 글쓰기의 중요성이 더 커진 것 같다. 또한 어느 저명한 교수의 주장처럼 학교에서 이런 독서와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 가르치지 않는 건 어떤 음모가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전에 나는 여유시간에 유튜브 영상들을 무의미하게 보면서 시간을 때울 때가 많았다. 다만 현재 독서와 글쓰기의 습관을 들이면서 조금씩 성장해가는 나의 모습을 보며 조금씩 자신감이 생기는 것 같다. 앞으로도 어제보다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독서와 글쓰기를 꾸준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https://youtu.be/bnKZCRpOb5w

https://youtu.be/hqHSsovWhvE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