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에서 공정하고 사각지대 없는 예술인 복지안전망을 위하여 '제1차 예술인 복지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고 합니다! :D
이번 계획은 예술인 복지법(이하 복지법) 제4조의2에 따라 향후 5년 동안의 예술인 복지정책의 비전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법정계획으로 역대 정부 가운데 이번 정부가 처음 수립했다고 하는데요! :-)


예술활동증명 절차를 간소화
먼저 예술활동 증명제도를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개선한다고 합니다.
예술활동 증명은 예술인 복지정책 대상자 확인 제도인데, 코로나 이후 신청 급증에 따른 심의 절차 지연으로 복지 지원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고 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올해는 유효기간 단일화(3·5년→5년), 20년 이상 예술활동 증명 유지 예술인에 대한 재신청 면제 등 절차 간소화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매번 예술활동의 실적을 예술인이 증명해야 하는 ‘제한적 증명’ 방식에서 본인의 경력을 직접 관리하는 ‘열린 확인’ 방식으로의 전환을 도모하는 ‘예술활동 확인 제도 도입 단계별 이행안(로드맵)’을 제시했구요!
이러한 효율화 방안과 더불어 예술인이 아닌 사람의 예술활동증명 발급을 방지하기 위해 행정심의-분과심의-전체위원회 3중 논의 구조를 통해 공정성을 유지하고, 심의위원 교육을 통해 공정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도록 관리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예술인 실태조사를 다양화
복지법상의 ‘예술인’ 정의 개정도 추진해 예술인 복지정책 대상도 명확히 하고, 예술인 권리보호 실태 및 성희롱, 성폭력 실태조사를 신설해 예술인 실태조사를 다양화하는 등 예술인 관련 통계도 강화한다고 합니다.
예술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안전망 방식도 도입한다고 하구요!
일반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 비율이 대체로 90%를 넘는데 비해 예술인은 고용보험 가입률 27.6%, 산재보험 가입률 28.5% 등으로, 실업, 상해 등의 위기 상황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문체부는 지역예술인 대상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예술인 고용보험 가입 대상을 위한 제도 홍보와 가입 지원 상담을 지속한다. 현재 임의가입 방식인 예술인 산재보험의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추진하고, 고용노동부와 함께 지속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기초연구와 예술계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예술 분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회안전망을 다각으로 검토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창작준비금을 2,000명 늘려 2만3,000명에게 지급예정
창작준비금 지원 사업의 경우, 올해에는 지난해 대비 2,000명을 추가로 지원해 모두 2만 3,000명을 지원(660억 원)한고 합니다. 앞으로는 급격한 예산 증액보다는 적정한 예산을 폭넓게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창작활동 연계 강화, 부정수급 방지 등 사업 내실화에 중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D

예술인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을 분양 및 예술인 대상 저금리 금융서비도 지속적으로 지원
아울러, 국토교통부와 협력해 예술인 특화공간을 갖춘 예술인 맞춤형 공공임대 주택을 내년까지 260호 공급해 예술인의 주거를 지원한다. 예술인 심리상담 지원도 지난해 940명에서 올해 1,300명으로 대폭 확대하고, 의료비 등 생활안정자금과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한 예술인 대상 저금리 금융서비스(180억 원)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예술인 권리보장 체계를 확립하고 경력단계별 맞춤형 예술인 역량을 강화
예술인 권리보장 체계를 확립하고 경력단계별 맞춤형 예술인 역량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균형적인 예술인 권리보장위원회를 이 달 구성하고, 신고 상담과 조사 등을 위한 독립된 공간인 권리보장 지원센터를 올해 상반기 연다고 합니다.
장애예술인을 위한 수어와 문자 통역 서비스를 갖춘 온라인 권리보호 교육도 새롭게 시행하는 등 권리침해 예방 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프로그램도 다양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현재 48.7%에 불과한 서면계약 체결률을 70%까지 높이기 위해 법률상담과 전자계약 플랫폼 지원 등 서면계약 활성화를 종합적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예술 분야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해 예비 신진예술인의 예술계 진입을 지원하고, 직업예술인의 일자리 및 창작, 전직을 지원하는 등 예술인 역량 강화 지원도 경력단계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특히 예술대학 창작프로젝트 지원 등 예비예술인의 역량을 강화하는 지원을 올해 새롭게 추진(55억 원)하고, 신진예술인 창작준비금 지원(3,000명, 200만 원, 1회)과 상담(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등도 이어간다고 합니다.
범정부 차원의 협력적인 예술인 복지정책 연계망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우선 예술인 복지정책 전담 기관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예술 현장과 복잡한 사회보장제도 간 중간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조직 역량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지역예술인 복지 수요에 맞는 복지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지역예술인 복지 종합지원센터(가칭)’ 모델 분석 및 표준 운영 지침(매뉴얼) 개발 등을 추진하고, 지역별 수요조사를 거쳐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문화예술 분야 주요 공공기관 및 협회·단체 등과 민관 협의체를 통한 소통을 강화하고, 고용부, 복지부, 국토부 등 유관 부처 간 정책 협력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관 예술인지원팀(044-203-2718)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0774&pWise=main&pWiseMain=I11
예술인 활동증명 간소해진다…창작준비금 지원 확대
정부가 공정하고 사각지대 없는 예술인 복지안전망의 틀을 짰다. 예술활동증명 절차를 간소화하고, 창작준비금을 2,000명 늘려 2만3,000명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또 예술인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을
www.korea.kr
https://www.kawfartist.kr/views/cms/hkor/cs/cs01/cs01002.jsp
- 예술활동증명 - 예술활동증명 | 예술인
본 예술인 경력정보시스템을 통해 예술활동증명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신청 마지막 단계에서 반드시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해야 접수가 됩니다. * 신청완료 단계에서는 신청내용을 수
www.kawfartist.kr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의 복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증진하고 예술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www.kawf.kr
2023.01.25 - [예술인 복지관련 :)] - 창작준비금지원-창작디딤돌(한국예술인복지재단)
창작준비금지원-창작디딤돌(한국예술인복지재단)
안녕하세요. :-) 오늘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주관하는 '창작준비금지원(창작디딤돌)'사업에 대해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창작디딤돌' 사업이란 예술인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창작활동을 중
likepaperairplane.com
'예술인 복지관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상반기 창작준비금 지원사업-창작디딤돌 신청 안내 (0) | 2023.03.09 |
---|---|
2023년 '예술인파견지원-예술로' 협업사업 지원자격 및 신청방법 (0) | 2023.02.04 |
예술활동증명 신청방법(feat. 한국예술인복지재단) (0) | 2023.01.28 |
창작준비금지원-창작디딤돌(한국예술인복지재단)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