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민들에게 내세운 공약이 있는데요!
바로 청와대를 국민에게 개방하는 부분이었죠!ㅎㅎ
우리나라 정부를 상징하는 건물인 청와대를 관람하는데 편의를 주기 위해 이번 정부에서 '청와대 무료 순환 버스' 및 '청와대 자율주행버스'를 선보였다고 합니다! :D
청와대 관람하실 계획이 있으시면 해당내용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어르신·임신부 등 탑승 대상 확대
청와대에서 모든 관람객이 순환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합니다.
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은 지난해 6월 15일부터 65세 이상 어르신과 임산부, 8세 이하의 아동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무료 운행하고 있는 청와대 관람 순환버스(셔틀버스)의 탑승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한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운행 시각도 30분 단위로 1대씩 운영하던 것에서 1대를 더 늘려 2대를 투입한다.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전용 리프트 차량도 별도 운영해 접근 편의성을 개선했다고 하네요!

경복궁 주차장-연무관 12차례 왕복 운행
운행 시각도 30분 단위로 1대씩 운영하던 것에서 1대를 더 늘려 2대를 투입한다고 합니다.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전용 리프트 차량도 별도 운영해 접근 편의성을 개선했다고 합니다.
순환버스는 청와대 휴관일인 화요일을 제외한 청와대 모든 관람일에 운영하는데, 경복궁 동편주차장에서 청와대 연무관까지의 노선을 관람시간에 맞춰 조정된 하루 12회 일정으로 왕복 운행하되, 지난해와 달리 경복궁역 정류장과 통의파출소 두 곳의 경유지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하게 됐다고 하는데요!
순환버스가 출발지인 경복궁 동편주차장에서 만차가 될 경우 다음 경유지인 경복궁역 정류장에서는 별도 정차 없이 운행되지만, 이 경우에는 인근의 국립고궁박물관 정류장(경복궁 영추문 인근)에서 서울시 자율주행버스를 탑승할 수 있어 청와대까지 어려움 없이 이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경복궁 동편주차장 출발 시간표 안내(일반)

> 청와대 연무관 출발 시간표 안내(일반)

> 경복궁 동편주차장 출발 시간표 안내(휠체어 리프트 버스)

> 청와대 연무관 출발 시간표 안내(휠체어 리프트 버스)

지난해 12월 22일부터 서울시 자율주행버스 운행 시작
12월 2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서울시 자율주행버스는 올해 11월 9일까지(매주 월요일~금요일) 경복궁 중심의 순환 구간으로 운행하며, 탑승 때 교통카드를 접촉하면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은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공간인 청와대의 개방 2년차를 맞아 관람 순환버스 운행 등 방문객들의 관람 편의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운영해나가기로 했습니다.
문의: 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 청와대개방기획총괄과(02-3771-8618)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0727&pWise=main&pWiseMain=I16
“청와대 갈 때 순환버스 무료로 타세요”…휠체어도 이용 가능
청와대에서 모든 관람객이 순환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은 지난해 6월 15일부터 65세 이상 어르신과 임산부, 8세 이하의 아동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www.korea.kr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910746&pageIndex=1&pWise=main&pWiseMain=J4
‘청와대 자율주행버스’ 타고 청와대 관람해 보니~
개방 후 핫플레이스로 변신한 청와대에 종종 갈 일이 있다.청와대를 가려면경복궁역에서 하차해 걸어가야 하는데연로한 부모님을 모시고 방문할 때는 짧지 않은 거리가 고민이 된다. 청와대를
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관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조기취업성공수당 50만원 받는 방법 (0) | 2023.01.26 |
---|---|
2023년 평생교육바우처 안내 (0) | 2023.01.25 |
‘청년도전지원사업’ 중·장기 프로그램 이수하면 최대 300만원 (0) | 2023.01.23 |
‘5천만원 목돈 마련’ 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 (0) | 2023.01.23 |
매월 25일 지급하는 ‘부모급여’ 1월 수여자 약 25만 명 예상 (0) | 2023.01.23 |